반응형 임베디드 시스템3 시리얼(Serial) 통신의 개요 : 이더넷(Ethernet)과의 차이점 및 장단점 산업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다보면 시리얼(Serial)과 이더넷(Ethernet) 통신을 쓰는 경우가 많은데 각각의 개요와 차이점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시리얼(Serial) 통신이란? 시리얼(Serial) 통신은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직렬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데이터 비트는 0과 1로 구성되며, 전송하는 장치(송신자)와 받는 장치(수신자)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시리얼 통신은 다양한 장치 간 데이터 통신에 사용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컴퓨터와 주변 장치의 통신,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센서의 통신, 네트워크 장비 간의 통신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시리얼 통신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저비용인 장점이 있으며, 주로 단일 장치 간의 직접적인 시리얼 케이블 연결 후 짧은 거리 통신에 사용된다. .. 2023. 6. 9. 자율 주행에 사용되는 센서들 자율 주행은 하나의 기술이 아닌 여러가지 기술과 시스템이 복잡하게 구성된 기술의 집약체이다. 센서, 통신,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많은 기술이 결합되어있는데 그 중 센싱은 주변에 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의 안전과도 직결되어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오늘은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센서에 대해 알아보자. GPS, IMU GPS와 IMU는 자율주행차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필요하다. 이 센서는 관성 정보와 지리적 위치에 대한 측정 값을 200Hz 이상의 빠른 주기로 알려준다. GPS는 로컬라이제이션 센서 중 비교적 정확한 편에 속하지만 업데이트 주기가 10 Hz 수준으로 조금 긴 편이다. 그에 반해 IMU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누적 오차로 인해 위치 추정 값의 정확도가 갈수록 떨어지지만.. 2023. 6. 8. 라즈베리파이 Python 아이콘 실행 & 부팅후 자동 실행하는 방법 라즈베리파이로 프로그램을 서비스할 경우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번 커맨드창에 명령어를 입력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라즈베리파이 개발을 하면서 몇가지 실행 루틴에 관한 방법을 포스팅합니다. 바탕화면에 아이콘 형태로 실행 라즈베리파이에서 파이썬 파일을 바탕화면에서 아이콘 형태로 실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Terminal에서 Desktop 위치로 들어간다. cd /home/pi/Desktop 2. pyProgram.desktop 파일을 만든다. sudo vi pyProgram.desktop 3. vi 에디터로 들어온 파일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esktop Entry] Type = Application Encoding=UTF-8 Name=demo Exec.. 2023. 5.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