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6 리눅스 SSH 명령어 사용법 SSH란?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원격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SSH는 두 컴퓨터 간에 안전하게 암호화된 연결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으로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다. SSH는 보통 터미널 환경에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른다. 사용자는 SSH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SSH 서버에 연결한다. SSH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전송한다. SSH가 제공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원격 제어 : SSH를 사용하면 원격 컴퓨터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원격 서버 관리나 유지 보수에 유용하다. 파일 전송 : SSH는 SCP(Secure .. 2023. 7. 5. 리눅스 시스템 로그 분석/관리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서비스가 많아지고 규모가 커질 수록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라면 시스템의 로그가 어떤 식으로 기록되고, 활용해야할지 알 필요가 있다. 리눅스 시스템에는 사용자 로그인, 웹 서비스, 메일 등 모든 시스템 활동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관리자는 이 로그에 대해 분석하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리눅스 시스템 로그 파일의 종류 리눅스에서는 /var/log 폴더에 시스템의 모든 로그를 기록/관리하고 있다. 시스템의 /etc/syslog.conf 파일에는 거의 대부분의 시스템 로그 파일들의 위치를 지정하고 있다. /var/log 폴더에 많은 파일들이 있는데 자주 쓰이는 몇가지를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index 종.. 2023. 6. 16. 리눅스 파일 소유 & 허가권 리눅스에는 파일과 폴더마다 소유권(ownership)과 허가권(permission)이라는 속성이 있다. 리눅스에서는 파일과 폴더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관리하기 위해 소유자(owner), 그룹(group), 기타 사용자(other)에 대한 허가권을 사용한다. 소유권(ownership)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각 파일과 디렉토리에 소유자(owner)를 할당한다. 소유자는 일반적으로 파일을 만든 사용자이고, 해당 파일에 대한 제어와 변경 권한을 가지고 있다. 각 파일에는 소유자 UID(User ID)와 그룹 GID(Group ID)가 있는데 이 그룹 개념을 사용해서 파일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그룹 단위로 제어할 수 있다. 그룹은 여러 사용자를 묶어서 파일에 대한 공통 권한을 부여하는데 사용된다. 파일을 만든 사용.. 2023. 5. 30. 리눅스 쉘 스크립트 쉘 프로그래밍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모아서 파일로 만들어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쉘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놓으면 매번 타이핑하지 않고 하나의 작업 명령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쉘이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을 쉘 스크립트(Shell Script)라고 한다. 쉘은 bash, csh, tcsh, ksh 등 종류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bash이다. 쉘 스크립트를 만들때는 확장자를 .sh로 해서 파일을 만들고 실행할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다음은 시스템의 환경을 출력하는 간단한 쉘스크립트 예제이다. echo는 문자열이나 변수값 등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 /bin/bash echo $HOSTNAME echo $USER echo $NAME 쉘 스크.. 2023. 5. 30.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Foreground & Background 프로세스 프롬프트에 명령을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Foreground로 프로세스가 구동된다. Foreground로 실행중인 프로세스는 대부분 Ctrl+C 라는 인터럽트 키를 눌러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다. Background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뒤에 & 을 입력하면 된다. Background 프로세스는 키보드 입력을 받을 수 없으므로 주로 입력없이 장시간 실행되어야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python demo.py python demo.py & 프로세스 상태 확인 top top은 CPU 프로세서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top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사용자, 날짜, 프로세스 개수, CPU 사용률, 메.. 2023. 5. 29. 리눅스 파일 개수 및 용량 확인 리눅스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다보면 종종 파일 개수를 확인할 필요가있는데 명령어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파일 개수와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를 포스팅합니다. 파일 및 폴더 개수 확인 아래 명령어는 현재 위치에 있는 파일 개수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ls를 이용한 방법과 find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ls -l | grep ^- | wc -l find . -type f | wc -l ls 명령어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열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l 옵션은 자세한 파일 정보를 표시하고, ^-는 일반 파일을 나타내는 줄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며, 디렉토리 등의 다른 유형의 항목은 제외됩니다. wc -l을 사용해서 라인 수를 셉니다. find 명령어는 지정된 디렉토리에서 파.. 2023. 4. 18. 이전 1 다음 반응형